본문 바로가기

백과사전

라면, 농심, 신라면, 불닭볶음면

안녕하세요,

 

오늘은 라면(Noodle)과 관련하여 학문, 예술, 문화, 사회, 경제 및 인간의 활동에 관련된 사전 지식을 알려드립니다.

Daum 백과사전, 네이버 사전, 위키피디아, 나무위키, 두피디아, 유튜브 등 지식을 압축 정리하였습니다.

 

 

1. 라면

라면은 기름에 미리 튀긴 국수를 수프와 함께 끓는 물에 넣어서 요리하는 즉석식품입니다.

2018년 기준, 세계 인스턴트 라면 협회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연간 라면 소비량은 35억 9000만 개, 세계 7위, 1인당 라면 소비량은 세계 1위라고 합니다.

1년에 1인당 대략 76개의 라면을 먹는데, 이는 세계 평균인 14.3개를 훌쩍 뛰어넘는 수치입니다. 

 

 

2. 신라면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라면은 농심 신라면입니다.

2018년 기준, 3204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고 합니다.

2위는 오뚜기 진라면, 3위는 농심 짜파게티, 4위는 농심 너구리, 5위는 농심 육개장 사발면으로, 상위 5개 라면 중 4개가 농심에서 나온 라면입니다.

 

 

3. 일본 라면

현재, 우리나라에 판매되고 있는 라면의 원조는 일본입니다.

라면은 대만계 일본인인 안도 모모후쿠가 2차 대전 이후에 개발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미군의 구호품으로 밀가루가 많아 이 밀가루로 먹을 음식을 개발하다가 라면이 등장했고, 최초의 라면은 1958년 8월에 일본의 한 회사에서 개발한 치킨 라면이었습니다. ​

1958년, 처음 등장한 일본의 치킨 라면은 지금과는 다르게 고급 음식으로 인식되었습니다.

당시 치킨 라면 값이 생 가락국수 면 가격의 6배였다고 합니다. 

 

 

4. 국내 라면

1963년, 국내에 라면이 처음 들어오게 됩니다.

바로 햄 맛 나는 삼양라면이 바로 국내 최초의 라면입니다.

1960년대 당시, 정부의 쌀 부족 해결 정책의 일환에 따라 만들어진 삼양라면은 1969년 한 해에만 1500만 봉지가 팔릴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하지만, 1980년대 공업용 소기름으로 삼양라면을 만들었다는 이른바 우지 파동이 터지면서 삼양라면은 내리막길을 걸었습니다.

이후 1997년 판결에 따라 무죄를 인정받았습니다.

5. 찬밥

라면에 밥을 말아먹을 때는 찬밥이 더 맛있다고 합니다.

차가워진 밥알에는 수분이 없어져서 오히려 라면 국물이 스며들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밥알의 맛과 식감이 유지되어 더 맛있게 느껴진다고 합니다.

 

 

6. 우주인

라면은 우주인들이 먹은 최소의 면 음식입니다.

미국의 디스커버리호에 식량으로 들어간 이 라면은 닛신 식품이 개발했습니다.

이 라면은 일반적인 라면과는 다르게 진공 포장해서 먹을 수 있도록 했고, 기존의 면보다 더 얇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7. 문화

면 음식 문화가 발달한 일본과 중화권에서도 쉽게 라면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동남아 문화권에서도 동북아 3국의 인스턴트 라면이 많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경우, 러시아에서 도시락 컵라면이 많은 인기를 끌고 있고, 불닭볶음면 같은 라면이 해외에서 널리 알려지면서 수출 4억 달러를 달성하였습니다.

 

 

8. 일 년

1년 365일 하루 세 끼를 850원짜리 라면만 먹는다면 93만 원이 조금 넘게 듭니다.

평균적인 사람들이 1년에 쓰는 식비가 900만 원 정도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1/10 정도 수준입니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주 당 2회 이상 라면을 섭취할 경우, 심장 마비와 당뇨병에 걸릴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고 합니다.

 

 

9. 해장

우리는 흔히 숙취해소를 위해 라면을 먹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라면은 숙취해소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라면은 맵고 짠 편이라 술로 인해 손상이 간 위벽에 좋지 않으며, 라면의 지방 함량도 높아서 소화도 잘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10. 끓이는 순서

라면을 끓일 때, 수프 먼저 넣으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면을 먼저 넣으나 수프를 먼저 넣으나 큰 차이점은 없다고 합니다.

오히려 끓는 물에 수프를 먼저 넣으면 돌비 현상 때문에 물이 끓어 넘쳐 위험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또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거품은 음식재료나 양념에서 나오는 단백질과 녹말 성분이기 때문에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아니라고 합니다. 

 

 

출처: https://www.youtube.com/channel/UCglNtEJO31sjAsEDGXJWYfg

 

 

감사합니다.

 

 

#Daum 백과사전  #네이버 사전  #위키피디아  #위키백과  #나무위키  #두피디아  #백과사전  #사전  #지식

#영어  #국어  #한자  #일본어  #중국어  # 프랑스어  #베트남어  #스페인어  #태국어  #인도네시아어  #독일어

#사회초년생  #추천  #필독  #10대  #20대  #30대  #카카오  #kakao  #네이버  #네이버 블로그  #다음  #티스토리

#40대  #50대  #60대  #70대  #모든  #카카오플러스친구 #스토리텔링  #인스타  #링크드인  #핀터레스트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