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을거리

미물의 힘

< 미물의 힘 >

 
타르바간은 몽골 북쪽과
시베리아 남쪽에 사는
들쥐의 일종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작고 귀여운
이 동물이 세계 역사를 바꾸리라
상상한 사람은 없었을 것이다.  
 
이 동물과 가까이 살고 있던
원주민들은 먹을 것이 귀해도
이 동물만은 건드리지 않는
전통을 가지고 있었다.  
 
잘못 만졌다가는 큰 변고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 덕에 이 동물은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으며 평화로운 삶을 살고 있었다. 
 
그러나 13세기 징기스칸과 그 후예가
유라시아 대륙을 통일하면서
이야기가 달라지기 시작했다.  
 
유럽의 상인들이 중국의 비단과
동방의 향신료를 구하기 위해
실크로드로 몰려들었다.  
 
남쪽과 북쪽 두 개의 비단길 중
많은 사람들은 덥고 언덕이 많은
남쪽보다 비교적 평탄하면서 덜 더운
북쪽을 선호했다.  
 
그런데 이 북쪽 실크로드는
타르바간 군락지를 지나고 있었다.  
 
이를 처음 본 여행객들은 이들을 잡아
가죽을 벗겨 털옷을 만들어 입었고
폭신폭신하고 따뜻한 이 옷은
큰 인기를 끌었다.  
 
그러던 어느 날 이 옷을 입은 사람 중
하나가 몸 이곳저곳이 부풀어 오르며
악취를 풍기다 죽는 사건이 벌어졌다.
  
그뿐 아니라 그와 접촉한 사람이
하나둘씩 쓰러지다 이들이 거쳐 간
마을 전체가 쑥대밭이 됐다.  
 
그 첫 희생 제물은
중앙아시아에 있던 이식 쿨이었다.  
 
중국과 서방, 러시아와 중동을 잇는
교차로에 있던 이 마을은 1339년
역병이 돌면서 하루아침에 폐허로 변했다.  
 
그다음은 이탈리아 제노바인들이
개척한 흑해 연안의 무역항 카파였다. 
 
마을 주민들이 차례로 죽어나가는 것을 본
제노바 선원들은 1347년 배를 타고
시칠리아로 도주했지만 이는 이 역병을
유럽 전체로 퍼뜨리는 역할만 했다.  
 
이것이 중세 유럽을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넣은 흑사병의 시작이다. 
 
이로 인해 얼마나 많은 사람이 죽었는지에
대해서는 설이분분하지만 이에 관해
가장 권위 있는 책의 하나로 꼽히는
‘거대한 죽음’의 저자 존 켈리에 따르면
역병 전 7,500만에 달하던 유럽 인구는
그 후 5,000만으로 줄어든 것으로 추산된다.  
 
약 1/3이 사망한 셈이다.

절대 인구수로는 제2차 대전을 제외하고
최고 인구 비율로 보면 인류 사상 최악의
재난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앞으로 가장 많은 인류를 죽일 재난은
핵전쟁이 아니라 바이러스라는
일부 학자의 주장이 근거 있어 보인다. 
 
역병은 인류 역사상 주기적으로 일어났다.

그런데 하필 왜 14세기 흑사병은
이토록 많은 사람을 죽인 것일까.  
 
그 첫 번째 이유는 타르바간에 붙어사는
쥐벼룩에 기생하고 있는 예르시니아
페스티스(발견자 알렉상드르 예르생
이름을 따 붙여졌다)라는 바이러스가
아주 악성이기 때문이다.  
 
다른 쥐벼룩 바이러스는 쥐벼룩이 물어야
감염되고, 물려도 물린 부위만 부풀고 말지만
이 바이러스는 몸 전체로 퍼지는 것은
물론이고 기침을 유도해 침으로도
타인에게 전파시키는 특징이 있다. 
 
두 번째는 이 질병이 동서 교역로가
뚫린 후 발생했다는 점이다.  
 
당시 몽골은 대륙 곳곳에 설치된
역참 기지를 지칠 줄 모르고 뛰는
조랑말로 연결해 놓고 있었다.  
 
빠른 물자와 정보의 이동이
전염병의 세계적 보급을 쉽게 했다. 
 
세 번째는 질병에 대한 무지였다.
병의 전염경로에 대해 알지 못하던 당시
유럽인들은 교회에 모여 하루 종일 병을
낫게 해달라고 기도했다.  
 
교회는 절대다수가 기독교인이었던
유럽 곳곳에 질병이 퍼지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700년 전과 세상은 많이 달라졌지만
바뀌지 않은 것도 있다.  
 
이번 바이러스도 흑사병처럼
야생동물의 위험성에 대한 몰이해에서 시작됐다.  
 
옛날 상인들이 타르바간을 잡아
옷을 해 입었다면 중국인들은 야생 박쥐를
잡아먹다 일을 만들었다.  
 
그 전이라면 특정지역에 국한됐을 역병이
몽골이 이룩한 세계화 바람을 타고
급속히 퍼진 점도 그렇고,
한국에서 특정 교회를 통해 전파된 점도 닮았다. 
 
700년 전 유럽과 지금과는 의학 수준이
비교할 수 없이 다르고 따라서 피해 규모도
훨씬 작을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의학이 발달하는 것과
비례해 바이러스도 끊임없이 진화한다.

인간과 바이러스와의 싸움은
세상 마지막 날까지 계속될 것이다. 

 

 

감사합니다.

 

#좋은말  #모음  #좋은 글귀  #좋은글  #명언  #좋은 말씀  #좋은 단어  #힘이 되는 말  #좋은 생각  #좋은 말들

#읽을거리 #마케터 #뉴스  #인스타  #like  #좋아요  #맞팔  #일촌  #공유  #인사이트  #홍보  #광고  #카드뉴스

#사회초년생  #추천  #필독  #10대  #20대  #최신  #카카오  #kakao  #네이버  #네이버 블로그  #다음  #티스토리

#카카오플러스친구 #스토리텔링  #인스타  #링크드인  #핀터레스트  #유튜브  #로드맵  #성과  #확장

'읽을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뉴스, 아침 뉴스, 이슈 모음[2020-05-18]  (0) 2020.05.18
90대 10의 원칙  (0) 2020.05.18
오늘의 뉴스, 아침 뉴스, 이슈 모음[2020-05-14]  (0) 2020.05.14
감사의 씨  (0) 2020.05.14
중국속담  (0) 2020.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