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득어망전 >
중국의 전설적인 성군 요 임금이
허유라는 은자에게 천하를 물려주려고 했다.
하지만 허유는 사양했다.
“뱁새는 넓은 숲에 살지만
나뭇가지 몇 개면 충분하고,
두더지가 황하의 물을 마셔도
배가 차면 그것으로 족합니다.”
허유는 이 말을 남기고
기산으로 거처를 옮겼다.
요 임금이 기산을 찾아가 그럼
구주 땅이라도 맡아달라고 청했지만
허유는 단호히 거절했다.
요 임금의 말로 자신의 귀가
더러워졌다고 여긴 그는
흐르는 물에 귀를 씻었다.
“왜 그리 귀를 씻고 계시오?”
소 한 마리를 앞세우고 가던
소부가 그 까닭을 물었다.
허유가 자초지종을 말하니
소부가 껄껄 웃었다.
“그건 당신이 지혜로운
은자라는 소문을 은근히
퍼뜨린 탓이 아니오.”
그가 물을 따라 올라가자
허유가 물었다.
“어디를 가시오.”
소부가 답했다.
“당신 귀 씻은 물을
내 소에게 먹일 순 없지 않소.”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 추적이 금언·명구를
모아 놓은 명심보감에 전해오는 얘기다.
장자는 <장자> 외편에서 허유 등
권력을 거부한 자들을 소개한 뒤
다음의 말을 덧붙인다.
"통발은 물고기를 잡는 도구인데
물고기를 잡고 나면 통발은 잊어버린다"
덫은 토끼를 잡기 위한 것인데
토끼를 잡고 나면 덫을 잊어버린다.
말은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인데
"뜻을 얻었으면 말은 잊어버린다."
득어망전,
물고기를 잡으면 통발은 잊는다.
득의망언,
뜻을 얻으면 말은 잊어라.
쓰임이 다한 것을 데리고 다니면
몸도 무겁고 마음도 무겁다.
베푼 은혜를 품고 다니면
서운함이 마음을 짓누르고,
뱉은 말을 담고 다니면 늘
남의 행동거지를 살핀다.
장자는 "말을 잊은 사람과 더불어
말을 하고 싶다"고 했다.
말을 잊는다는 건 뭔가에
매이지 않는다는 뜻이다.
뱁새는 나뭇가지에 매이지
않기에 자유롭고,
두더지는 강물에 매이지
않기에 족하다.
취하기만 하고 버리지 못하는 건
반쪽짜리 지혜다.
감사합니다.
#좋은말 #모음 #좋은 글귀 #좋은글 #명언 #좋은 말씀 #좋은 단어 #힘이 되는 말 #좋은 생각 #좋은 말들
#읽을거리 #마케터 #뉴스 #인스타 #like #좋아요 #맞팔 #일촌 #공유 #인사이트 #홍보 #광고 #카드뉴스
#사회초년생 #추천 #필독 #10대 #20대 #최신 #카카오 #kakao #네이버 #네이버 블로그 #다음 #티스토리
#카카오플러스친구 #스토리텔링 #인스타 #링크드인 #핀터레스트 #유튜브 #로드맵 #성과 #확장
'읽을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계지덕 (0) | 2020.05.07 |
---|---|
오늘의 뉴스, 아침 뉴스, 이슈 모음[2020-05-06] (0) | 2020.05.06 |
마케팅 뉴스, 아침 뉴스, 이슈, 속보, 모음[2020-05-04] (0) | 2020.05.04 |
소와 가죽신 (0) | 2020.05.04 |
마케팅 뉴스, 아침 뉴스, 이슈, 속보, 모음[2020-05-01] (0) | 2020.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