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시사상식과 일반상식 관련하여 몇 가지 알려드립니다.
NCS 및 인적성 대비를 위해서 중요한 상식들만 쏙쏙 골라서 모아 왔습니다.
1. 펀드런(fund run)
펀드런이란 펀드 수익률 악화를 우려한 펀드 투자자들이 펀드 가입계약을 해지하고 투자한 돈을 회수하기 위한
펀드 환매가 한꺼번에 집중적으로 벌어지는 대량의 투자자금 이탈 현상을 일컫는 말입니다.
즉, 투자자들이 펀드가 부실해질 것이라는 소문을 듣고 먼저 환매하겠다고 덤비는 새로운 금융 패닉의 일종으로,
은행이 부실해지면 예금자들이 돈을 찾기 위해 먼저 은행에 달려가던 뱅크런(bank run)과 유사합니다.
2. 페이고(Pay as you go)
페이고는 돈은 벌어들인 만큼만 쓴다의 줄임말로 비용이 수반되는 정책을 만들 때에는 이를 위한 세입 증가나
법정 지출 감소 등 재원 확보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함을 강조하는 개념입니다.
3. 잔물결 효과(ripple effect)
잔물결 효과는 호수에 돌을 던졌을 때 돌이 떨어진 지점부터 동심원의 물결이 일기 시작해 호수의 가장자리까지 작은
파동이 이어지는 데서 붙여진 이름으로, 하나의 사건이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4. 주주 행동주의
주주 행동주의는 주주들이 기업의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여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배당금이나 시세차익에만 주력하던 관행에서 벗어나 지배구조까지 관여하며, 부실 책임 추궁, 구조조정, 경영투명성
제고 등 경영에 적극 개입해 주주가치를 높이는 행위 등이 이에 속합니다.
주주행동주의는 기본적으로 기업의 이익을 극대화하여 주주들에게 그 이익을 돌려준다는 원칙에 근거합니다.
5. 트윈슈머(Twinsumer)
트윈슈머는 인터넷의 사용후기를 참고하여 물건을 구매하는 소비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쌍둥이라는 뜻의 ‘트윈스 Twins’
와 소비자를 의미하는 ‘컨슈머 Consumer’의 합성어입니다.
생각, 취미, 취향, 반응 등의 성향이 유사한 소비자이며, 마치 쌍둥이들처럼 자신들과 취향과 기호가 비슷한 사람들과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그들의 의견을 듣고 행동에 옮기는 소비자들을 말합니다.
6. 처널리즘(churnalism)
처널리즘이란 제품을 대량으로 찍어낸다는 뜻의 ‘천 아웃(churn out)’과 ‘저널리즘(journalism)’의 합성어로 기자가
취재 대신 보도자료나 홍보자료를 그대로 옮겨 적는 언론의 보도 경향을 이르는 말입니다.
기사 제공 매체가 지면에서 디지털로 변화하면서 언론사들의 속도 경쟁이 일어났고, 기자들은 실시간으로 대량의
기사를 생산해내야 하는 업무 환경에 놓였습니다.
이에 따라 기자들이 보도자료를 무비판적으로 재구성해 빠르게 내놓는 것에만 집중하는 세태를 비판하고자 했습니다.
7. 정보전염병(infodemics)
정보전염병은 정보(information)와 전염병(endemic)의 합성어로, 잘못된 정보가 미디어, 인터넷 등의 매체를 통해
급속하게 퍼져나가는 것이 전염병과 유사하다는 데서 생겨난 용어입니다.
즉, 정보화의 부작용으로, 미국 전략 분석기관 인텔리브리지(Intellibridge)의 창립자 데이비드 로스코프(David Rothkopf)
가 2003년 5월 《워싱턴포스트》에 기고한 글에서 처음 정보전염병(인포데믹)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며, 인포데믹은
단순히 소문이 퍼지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8. 관세장벽
관세장벽은 고율의 관세를 수입품에 적용시켜 그 가격을 인상함으로써 같은 종류의 상품 또는 경합상품을 생산하는
국내 산업을 보호하는 조치를 말합니다.
이는 수입품에 대해 장벽과 같은 효과를 가지며, 수입상품에 고율의 관세를 적용하면 자연적으로 가격이 인상되어
소비가 감소하기 때문에 수입을 억제하고 국내 산업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내의 유치산업을 보호하거나 중점산업을 육성하고, 국제수지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9. 주택 거래 허가제
주택 거래 허가제란 주택을 거래할 때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제도로 부동산 매매거래
허가제라고도 불립니다.
현재 일정 지역 등에 한해 토지거래만 허가를 받도록 시행하고 있으며, 주택도 특정 지역을 골라 이 같은 허가제를
적용하겠다는 것입니다.
앞서 참여정부가 2003년 10·29 대책에서 토지공개념 도입 방침의 일환으로 주택 거래 허가제 도입을 검토했으나 여론의
반대에 밀려 도입을 보류하고 차선으로 주택거래신고제를 시행했습니다.
그 이후 2005년 8·31 대책 등 중요 부동산 대책을 낼 때도 주택 거래 허가제 도입이 검토됐으나 결국 제도화되지는
못했으며, 주택 거래 허가제가 도입된다면 토지거래허가제처럼 적용지역과 대상, 기간을 지정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Daum 백과사전 #네이버 사전 #위키피디아 #위키백과 #나무위키 #두피디아 #백과사전 #사전 #지식
#사회초년생 #추천 #필독 #10대 #20대 #최신 #카카오 #kakao #네이버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플러스
#40대 #50대 #60대 #70대 #모든 #카카오플러스친구 #스토리텔링 #인스타 #링크드인 #핀터레스트 #유튜브
#시사상식 #일반상식 #NCS #면접 #면접 대비 #면접 상식 #면접 준비 #인적성 #인적성 면접 #인적성 준비
'2030세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마케팅 용어 모음 (0) | 2020.06.19 |
---|---|
디지털 마케팅 용어 (0) | 2020.06.18 |
비만의 원인 (0) | 2020.06.16 |
영문이력서 (0) | 2020.06.15 |
INCOTERMS 2010 (0) | 2020.06.09 |